ls -l 로 출력 되는 항목을 보면 , 다음과 같이 카테고리를 나눌 수 있다.
ben@ben-ubuntu-server:~/share/apue_github/apue/ben$ ls -l
total 180
-rw-rw-r-- 1 ben ben 21 Jun 15 08:14 data
-rwxrwxr-x 1 ben ben 17632 Jun 17 02:26 fig1_3
-rw-rw-r-- 1 ben ben 397 Jun 15 07:21 fig1_3.c
1) 파일 유형. '-' 는 일반파일, 'd'는 디렉토리, 'b' 는 블록 디바이스, 'c'는 문자 디바이스, 'I'는 링크를 뜻한다.
2) 허가권
'r' 은 read able , 'w' 는 write able , 'x' sms execute able 이다.
3자리씩 끊어서, 왼쪽부터, user , group , other 이다.
chmod 777 [파일이름] 으로 권한을 변경 할 수 있다.
3) 해당 파일을 링크한 숫자
4) 사용자 이름 (User ID)
5) 소유 그룹 (Group ID)
6) 파일 크기
7) 최종 수정 일 및 시간
8) 파일 이름
사실 Linux 에서는 숫자로 된 Group ID 와 User ID 가 사용된다.
getuid() 를 사용하면 숫자로 된 User ID 가 return 되며
getgid() 를 사용하면 숫자로 된 Group ID가 return 된다.
/etc/passwd file안에는 user name (string) 과 numeric user ID mapping 이 저장 되어 있다.
1) User name
2) password (/etc/shadow 파일에 암호화 되어 있음)
3) User ID (UID)
4) Group ID (GID)
5) 사용자 계정 이름
6) 사용자 계정 홈 디렉토리
7) 사용자 계정 로그인 쉘
/etc/group file dksdpsms
ben:x:1000:
[group name]:[비밀번호]:[group ID]
'SystemProgramm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netplan 고정 IP 설정시, 서브넷 마스크 작성법 (0) | 2022.04.22 |
---|---|
apue.3e 컴파일 하기 (0) | 2021.06.15 |
Linux , caller (호출자) 가 누구인지 아는 방법 (0) | 2021.05.21 |
Linux 가상 메모리의 응용 #1 - file map (1) | 2021.05.08 |
Linux Memory 관리 (0) | 2021.05.08 |